원격의료 대응 TF 등 기존 TF 통합한 전문위원회
구체적 비대면진료 대응 방안 마련 관심..민간 플랫폼 인증 주도 유력 분위기
플랫폼 인증제 주도 확정시 약 배달 이슈 민감한 약사회의 협업 요구도 예상돼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비대면진료 등에 대한 전문적 대응을 위해 기존 TF들을 통합·확대한 정보의학전문위원회를 발족한다.

해당 위원회에서는 비대면진료와 비대면진료 플랫폼 인증제 가능성 외에도 공적전자처방전 도입 문제, EMR 전자차트 인증, 의학정보원 등 정보의학에 관련된 총체적인 대응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최근 기존 원격의료대응TF 등 정보의학관련 TF를 묶은 (가칭)정보의학전문위원회 발족을 준비중에 있다. 이에 맞춰 정보의학 전문가인 유소영 정보통신이사(서울아산병원 빅데이터연구센터)를 영입하는 등 전문성 제고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정보의학전문위원회는 총 2국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1국에서는 비대면진료(원격의료) 대응을 2국에서는 디지털 의료 및 환자정보 전송관련 문제 대응을 맡는다. 공적전자처방전, EMR인증, 의학정보원 설립 등 정보의학 관련 사안들을 모두 총괄할 예정이다.

역시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은 비대면진료 대응이다. 특히 현재 한시적 비대면진료 허용에 맞춰 운영중인 민간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 대한 대응방안에 주요 초점이 맞춰지는 중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비대면진료 플랫폼을 의협이 자체 개발하는 방안과 비대면진료 관련 민간플랫폼에 대한 인증을 주도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분위기는 의협 공식 플랫폼을 만드는 것 보다는 민간 플랫폼에 대한 인증을 담당하는 쪽에 가까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이연 대한의사협회 홍보이사는 “대상 및 의료기관 범위나 책임소재 등 비대면진료 쟁점에 대한 논의를 의료진과 환자들을 보호하는 선에서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면서 “플랫폼 대응에 대해서는 인증얘기도 나왔으나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의협이 나서지 않더라도 복지부에서 결국에는 (비대면 플랫폼 인증제 등을) 도입할 것인데, 그렇다면 어디까지 복지부가 권한을 가져가거나 위임할지, 인증기준을 만드는 역할은 의협이 주도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면서 “비대면진료 플랫폼 인증 자체를 의협이 운영할 것인가까지 모두 포함해서, 회원들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는 선에서 논의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때, 비대면진료 및 약 배달 이슈 대응에 있어 대한약사회와의 교통정리도 문제가 된다. 액사 회원 여론이 부정적이기 때문에 약사회에서는 약 배달 이슈에 선도적으로 나서는 것을 금기하고 있지만, 대한의사협회가 비대면진료 및 약 배달 관련 민간 플랫폼 인증제를 선도할 경우 나중에라도 약사회가 의협 및 복지부 등에 협업을 요구해 올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 이사는 “보건의료발전협의체에서도 물밑으로 논의가 오가는 중이다”라며 “약 배달 및 원격의료 책임소재에 대한 공통의 문제의식을 공감하고 있다. 그런 것에 대해 약사회와 협력이 필요하다면 충분히 할 예정이고, 최대한 신중하게 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10일 열리는 보건의료발전협의체에서도 비대면 진료에 대한 의약계의 구체적인 제안과 논의가 오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대한의사협회 정보의학전문위원회에서는 EMR 인증 및 표준화도 선도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35년까지 보건의료표준화를 계획중에 있다. 특히 차세대 전송기술 국제표준인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을 도입·확산시킬 예정이다. 또한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을 설립해 EMR 인증제 확대를 준비중이다. 다양한 방안으로 EMR 인증 및 표준화가 진행될 예정이기에 의협도 이에 맞춰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