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

건보공단, 급여비용 가산 장기요양기관 2100개소 대상 장기요양 서비스 모니터링 실시

이한희 / 기사승인 : 2023-05-15 10:45:44
  • -
  • +
  • 인쇄
▲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경 (사진=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메디컬투데이=이한희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장기요양급여비용 가산을 받은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제공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2023년 장기요양 서비스 모니터링을 4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대상기관은 인력추가배치 가산, 맞춤형서비스제공 가산 등 장기요양급여비용 가산을 받은 장기요양기관 2100개소로, 이 중 전년도에 최초로 가산 받은 기관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며 정기 모니터링 결과 가산기준에 미흡한 경우 등 사후관리가 필요한 기관에 대해서 11월 추가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급여비용을 가산받은 장기요양기관이 서비스를 적정하게 제공했는지를 점검하여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1918개 가산기관을 대상으로 정기 모니터링을 실시, 그 중 부적정 청구 및 서비스 미흡기관 160개소에 대하여 추가 모니터링을 실시한 바 있다.

또한 공단은 장기요양기관 스스로 서비스 수준을 점검할 수 있도록 지난 2017년부터 서비스 모니터링 ‘자가진단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급여비용 가산을 받은 장기요양기관이 공단 장기요양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율점검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년도에는 가산적용기관의 89.6%인 1만7614개 기관이 참했다.

공단은 금년에도 보다 많은 장기요양기관이 가산기준을 이해하고 서비스 수준을 자체 점검할 수 있도록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카카오 알림톡 등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한 자가진단 참여를 안내하여 장기요양기관의 적정청구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예정이다.

 

메디컬투데이 이한희 (hnhn0414@mdtoday.co.kr)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2025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 평균 1.96% 인상···병·의원은 최종 결렬
한국인 나트륨 섭취량 줄고 있지만, WHO 권고량 1.5배 ↑···"배달음식 섭취 증가 탓"
내년도 의대 신입생 4610명 뽑는다…지역인재전형 1913명
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 환자단체연합회 간담회 개최
국민연금, 향후 5년간 목표수익률 5.4%로 결정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