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이 서울대병원 다학제 연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이 질환으로 진단받으면 기분, 불안, 스트레스, 신체화장애 등의 발생위험이 일반인보다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그에 따라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좋은 예후를 위해서는 정신질환과 같은 비심장성 합병증 관리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박준빈, 윤제연(제1저자), 김형관 교수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박준빈, 윤제연(제1저자), 김형관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박준빈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약 16,000여명의 비후성심근증 환자 및 일반인을 추적 관찰하여 비후성심근증 진단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비후성심근증은 유전적으로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연간 사망률 1%로 비교적 예후가 좋지만 부정맥을 일으켜 급사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비후성심근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질병에 대처하면서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정확히 연구된 바 없었다. 환자의 정신건강은 약물 순응도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이 연관성을 규명해내는 것이 중요했다.

연구팀은 2010~2016년 사이 비후성심근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4,046명과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선택된 대조군 12,138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기분장애, 불안장애, 스트레스 장애, 신체화 장애) 발생 위험을 4.1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환자군의 전체적인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대조군보다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장애 및 불안, 스트레스, 신체화 장애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됐다.

다음으로 비후성심근증 진단 후 시기별로 구분해 분석이 이뤄졌다. 환자군의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진단 후 1개월 미만 1개월 이상~1년 미만 각각 3.1, 2.3배로 특히 높았다.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에서는 각각 2.1, 1.3배 높았다.

즉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비후성심근증 진단 직후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진단 후 1년 동안은 환자를 진료할 때 정신건강 관리 측면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추가적으로 하위 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 시 60세 미만인 경우와 고혈압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정신질환 발생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형관 교수는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진료에서는 포괄적인 임상 평가가 필요한데, 내과 진료에서 정신건강을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고위험 환자를 적절한 시기에 정신건강의학과에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런 측면에서 이번 연구는 정신질환 발생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와 하위 집단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